top of page

윤희수 개인전 《샴피뇽-모홀(champignon-mohole)》 서문

 

- 글. 엘로디 옹그(큐레이터)

 

“가장 풍부한 사건은, 우리의 마음속에서 흔히 그것을 알아차리기 전에 다가오는 것이다. 그리고 보이는 것 위에 눈을 열기 시작할 때, 이미 우리는 오래전부터 보이지 않는 것에 소속되어 있었던 것이다.” - 다눈치오, 『죽음의 명상』, 불역판, 19쪽

  윤슬의 매혹으로 우리는 바다의 외부에 머문다. 물결에 반사된 빛은 견고하고 일정하게 눈을 만져 질문이 멈춘 상태에서 바다 경관을 충실히 바라보도록 한다. 액체지만 표면을 갖고 있는 바다는 수많은 물질들로 소리를 내고 있다. 눈앞에 반영된 보이는 세계 보다 소리에 진리가 있는 듯 시각을 먼 곳으로 보내 응결시키고 귀를 기울인다. 바다 표면에 뿌려진 빛 아래로 열리는 액체 세상의 소리는 인간의 가청 주파수와 다르게 작동하지만 더 넓은 세계를 추구하는 우리는 더 이상 바다의 외부에 머물지 않고 바다로 들어간다. 기체 세상의 일부 음장(Sound Field)에 최적화되어있는 인간에게 액체 세상의 소리는 둔탁하고 느리게 전송되는 인상을 지닌다. 흡사 다른 세상의 소리처럼, 혹은 오래된 거리를 여행하고 이제야 우리에게 닿은 소리처럼 아득하지만 비가시적 물성을 띄고 존재를 드러낸다. 

 

  물결의 파동을 채집하는 사운드 조각가 윤희수 작가의 3회 개인전 제목인 《샴피뇽-모홀(champignon-mohole)》은 이번 전시에서 가장 주요하게 소개되는 작품인 <웅성거리는 바다의 변주 지점으로, sea variation point>를 조형적으로 닮은 버섯의 불어 표현으로 '샴피뇽(champignon)'과 러시아의 지구 탐색 프로젝트였던 '모홀(mohole)'의 두 단어를 병치시켜 만들어졌다. 사운드 조각(Sound sculpture)을 만드는 윤희수 작가는 미술의 오래된 전통인 재현의 방식으로 바다의 논리, 인간의 가청 환경으로 작품들을 배열하고 당신의 감각이 오고 갈 빈 공간을 둔 채 전시를 연다. 오랜 풍파와 풍식으로 깎이고 다듬어진 해변 장소들의 흔적들에서 시각적인 이미지를 편집하고 돌부리 사이 혹은 모래 결을 휘감아 물러나는 파도의 물결, 바다의 표면을 관찰하며 작가의 눈과 귀는 보이지 않는 세계로 귀속된다. 작가가 즐겨 읽는 이탈리아 소설가 이탈로 칼비노 전집 중 『팔로마르』에 나오는 파도의 물마루들이 비스듬한 추진력과 뒤로의 추진력을 불균등하게 반복하며 결국 해변에서 시작하여 먼 바다를 향하는 진정한 움직임을 추구하는 태도와 같이 작가는 장대한 여정 중이다. 

 

  이러한 작가의 관찰력과 손끝으로 만들어진 예술 작품들로 대표적으로 육중한 대형 따개비 형태의 메탈 조형 작품들 <따개비 1(Barnacle unit 1)>, <따개비 2(Barnacle unit 2)>가 있다. 따개비는 보통 다른 바다생명체 혹은 인간의 선박에 고착하여 활동하며 고착 물건 혹은 생명체의 추진력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는 갑각류의 일종이다. 이 고착 생명체의 이름을 딴 두 개의 사운드 조각 <따개비> 시리즈 작품은 내부에 특정 소리 장치(microphone)을 장착하고 기체와 액체 세계 경계면, 즉 인간의 개입이 닿는 수중의 어느 정도 깊이로 출정을 나가 작가 대신 소리를 채집해오는 대체물이자 내장 스피커를 통한 소리송출기이기도 하다. 작가가 주로 사용하는 산업재료인 메탈 재질로 해파리와 버섯을 닮은 생명체 <웅성거리는 바다의 변주 지점으로, sea variation point> 작품들이 군집되어 웅성거리며 그에 따라 빛을 산란시키고 있고, 셀 수 없는 바다를 하나의 방울 단위로 바다 물마루의 긴 파도와 같이 벽에 줄지어 맺혀놓은 여러 개의 설치작품<수중물(en grattant le mur de la plage)>이 있다. 작가의 아이디어 습작을 볼 수 있는 바다의 물질들에서 추출한 색상과 유영하는 선들로 얽혀 화면을 조형한 드로잉들도 전시장 입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우주의 소립자들의 진동으로 지구 밖 태양풍까지 들을 수 있듯 바다 외부 경관에 묶인 눈에서 보이지 않는 세계로 이동한다면 우리는 바다 속 물질들의 진동으로 수많은 소리를 상상할 수 있다. 상상세계의 물질들을 보이는 세계로 끄집어내며 조형하는 작가는 바다 속 수많은 생명체들과 물질들이 보내주는 소리들을 채집한다. 1960년대 초 러시아와 미국 중심으로 도달한 적 없는, 혹은 도달할 수 없는 지구 내부를 탐색하려고 지구 지각에 구멍을 뚫은 거대한 사건이 일어났었다. 이 역대적인 ‘모홀 프로젝트(Project Mohole)(1958~1966)’는 국제해양학, 지질학계를 흔들기 시작했고 실현의 가능성을 맞본 인간의 상상력은 마치 예술가의 탐구력이 예술작품을 내놓듯 다른 심해 시추 프로젝트로 현실화시켰다. 듣기와 숨 쉬기에 낯선 액체 세상은 여전히 미지의 세계이고 진리를 추구하는 작가가 이러한 미지의 물질들을 탐구하는 것은 예술가의 일이다. 약 45억년 전 지구 탄생에서 물의 생성으로 거론되는 혜성기원설과 또 다른 가설로 2001년 마크해리슨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지구가 탄생하던 지구 암석인 크롬 철광 속 지르콘(Zircon) 광물을 통해 지구 내부에 이미 물 분자를 가지고 있었다고 밝히고 있다. 지구 표면의 70%이상이 물에 덮여있는 것이나 우리 몸의 70%가 물로 구성되어있는 것은 지구인인 우리의 기원이 물을 향하고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작가가 물에 천착하여 귀를 기울이는 것은 어쩌면 물과 인간 그리고 지구가 같은 물질로서 우리의 기원에 닿기 위한 끌림일 수 있다. 전시장에서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은 어떠한 가? 기체 세상에서 바다 파도 소리를 듣는 것 보다 액체 세상의 소리가 좀 더 흥미로워지지 않았는가? 작가의 비전은 여기에 있다. 먼 과거로부터 온 소리들을 채집하여 발산하고 있는 이 사운드 조각 작품들을 통해 수성물질인 우리가 있었고 앞으로 있을 세계에 대해 감각해보도록 당신을 이 곳으로 초대한다.

Preface 

 

Yoon HeeSoo Solo Exhibition Champignon-Mohole

 

 

Elodie HONG, Curator

 

 

“Richest events occur in us long before the soul perceives them. And when we begin to open our eyes to the visible, we have long since committed ourselves to the invisible.” 

 

- Gabriele d'Annunzio, The Contemplation of Death [Contemplazione della Morte], French translation, p. 19. 

 

Fascinated by the yunseul (shiny ripples reflecting light), we hover on the outside of the sea. The light reflected on the waves enchants our eyes in steady and constant patterns, urging us to stare faithfully at the seascape without any further questions. Although liquid, the sea has its surface and emits sounds created from numerous substances. As if the truth lies in sound rather than in the visible world reflected in front of our eyes, the sea sends away and condenses our vision and sharpens our hearing. The sound of the liquid world that unfolds under the light scattered on the surface of the sea operates at different ranges than the human audible frequencies. However, we, seeking a world beyond, no longer remain outside the sea but get on our way into it. For humans, who are optimized for the partial sound fields of the gas-based world, the sounds of the liquid-based world seem to be transmitted more slowly. They are distant, like sounds from another world or like sounds that have traveled a long way to reach us just now finally, but they reveal their existence with invisible physical properties. 

 

Champignon-Mohole is the third solo exhibition of sound sculptor Yoon HeeSoo, who collects the sound waves of the sea. The title of the exhibition juxtaposes the two words: Champignon, a French word for a mushroom that resembles the form of the most highlighted work in the exhibition, sea variation point, and Mohole, a Russian earth exploration project. Yoon HeeSoo, who creates sound sculptures, structured this exhibition based on a longstanding tradition of art, which is the representation, arranging the works in the logic of the sea and the audible environment of the human ear and leaving margin spaces for the viewer’s senses to move around. Editing visual images from the traces of seaside sceneries that have been shaped and refined by long time waves and wind erosion, and observing the surface of the sea, waves of the swells receding between the rocks or through the sand ripples, the artist’s eyes and ears became part of an invisible world. In Palomar, one of the artist’s favorite novel collections by Italian novelist Italo Calvino, the crests of the waves unevenly repeat their oblique and backward impulses, eventually pursuing a true movement starting from the beach toward the far out at sea. Just like these attitudes of the waves, the artist is on an epic journey.

 

Barnacle unit 1 and Barnacle unit 2, two metal sculptures in the form of massive, gigantic barnacles, are representative works of the artist’s creation based on her observational and manual skills. Barnacles are a type of crustacean that usually attach themselves to other sea creatures or human-made vessels, sometimes causing problems with the propulsion of the object or creature to which they are attached.

Named after these sessile creatures, the two sound sculptures in the Barnacles series are equipped with specific sound devices (microphones) inside in order to venture out into a certain depth underwater, at the level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gas world and liquid world where human intervention can somewhat reach, to collect sounds in place of the artist. Moreover, they also play the role of sound transmitters through their built-in speakers. Sea variation point, the works in series made of metal, which is the artist’s favorite industrial material, depict creatures looking like jellyfish and mushrooms. They are clustered together, buzzing and scattering light according to their form. On the other hand, en grattant le mur de la plage, a number of installation works, take the shape of water drops formed in line on the walls like the crests of long waves of the sea, numerous individual drops representing the countless sea. At the entrance to the exhibition, we can also appreciate a series of drawings that form a screen of intertwined colors and floating lines derived from the substances of the sea, where we can see the artist’s idea studies. 

  

Just as we can hear the solar wind far from the Earth through the vibrations of elementary particles in outer space, if only we move beyond the limit of the eyes that are bound to the landscape outside the sea toward the invisible world, we can imagine innumerable sounds through the vibrations of the substances under the sea. To create shapes by bringing out the substances from the imaginary world to introduce them into the visible world, the artist collects the sounds emitted by many creatures and substances under the sea. In the early 1960s, a tremendous event occurred led by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that drilled holes in the Earth’s crust to explore the unreached or unreachable interior of the planet. This historic ‘Project Mohole (1958-1966)’ began to shake the international oceanographic and geological world fundamentally, and the human imagination, having experienced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brought other deep-sea drilling projects into fruition, just as an artist’s drive for exploration urges to produce artworks. The liquid world, where hearing and breathing are strained, is still left as an unknown world, and for artists who pursue the truth, it is their vocation to explore these unknown substances. Regarding the birth of the Earth about 4.5 billion years ago, in addition to the comet theory about the origin of water, Dr. Mark Harrison published in 2001 research containing different hypotheses that the Earth already had water molecules in its interior through zircon minerals in chromite, the rock from which the Earth was formed. The fact that more than 70% of the Earth’s surface is covered with water resonates with the fact that 70% of our bodies are made up of water, which means our origin as earthlings focuses on water. The reason Yoon HeeSoo has delved into the water and listened to its sounds may be an attraction to attain our origin: water, humans, and the Earth are the same substance. What about you, reading this article in the exhibition hall? Wouldn’t you be now more interested in the sounds of the liquid world than just listening to the sounds of sea waves in the gas world? Here lies the artist’s vision. Through these sound sculptures, which collect and emit sounds from the distant past, she invites us to perceive the world we have been and will continue to be, we humans as an aqueous substance.

© copyright 2025 HEE SOO YOO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