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ENOMENA
PHENOMENA
PHENOMENA
진동과 촉각, 그리고 몸에 새긴 기억
박상은
심심할 때면 사회과 부도를 펼치곤 했다. 세계 곳곳에 대한 정보를 읽고 오감을 동원해 그곳을
상상했다. 나는 순식간에 교실 앉은 자리에서 산소가 희박한 에베레스트 정상으로, 매연이 가득
한 델리의 거리로 날아갔다. 이런 상상 여행이 힘든 곳은 바다였다. 책은 넓은 푸른색으로 바다
를 표시했지만 육지에 비해 지명도 듬성하고 관련 정보도 많지 않았다. 직접 경험한 바다의 기
억을 보태도 그곳은 여전히 알 수 없어 무서운 곳이었다. 사람들이 찬탄하는 윤슬은 바다의 표
면에서 반사된 빛일 뿐 바다의 속을 좀체 보여주지 않는다. 맨몸으로 그 속에 들어가 본들 불과
수 미터 바깥도 빛이 닿지 않아 시거리가 짧다. 압력, 호흡의 문제도 있다.
나는 아직도 바다를 상상하면 검은 구멍이 먼저 떠오른다. 지구상 가장 깊은 바닥이라는 마리아
나 해구는 최근 10년 사이에 겨우 두 번의 유인 탐사가 이뤄졌다고 한다. 바다는 내가 딛고 있
는 땅과 연결된 존재이지만 어떤 면에선 달보다도 먼 곳이다.
몇 년째 바다의 소리를 녹음해 온 윤희수는 스스로를 소리 채집가라 설명한다. 바다를 탐사하기
위해 그의 신체를 대신하는 장치는 콘택트 마이크다. 콘택트 마이크는 액체나 고체 등 매질에
직접 접촉해 그 매질에 울리는 진동 자체를 전기신호로 저장한다. 물은 공기에 비해 밀도가 높
아서 음파가 수배나 빠르게 전달되고 낮은 음역대의 소리(낮은 주파수의 진동)가 크게 손실되지
않고 멀리 나아간다. 그가 그렇게 바다에서 채집한 소리는 수백, 수천 미터 바깥의 어떤 존재가
발신했거나 그들끼리 부딪쳐서 낸 낮은 진동부터 다양한 기포 소리, 바다 표면 근처의 배 모터
소리, 부서지는 포말 소리까지 포함하고 있을 것이다.
채집한 바다 속 소리를 듣는 것은 물론 청각을 쓰는 일이다. 그러나 제 표면의 털로 저주파의
소리 혹은 진동을 감지한다는 바닷가재를 잠시 떠올려 보자. 평소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듣
기, 그러니까 공기가 아닌 바다 속 진동을 녹음해 증폭해서 듣는 행위는 새로운 감각기관을 상
상하게 하고, 이때의 청각은 촉각까지 확장된다. 작가는 본인의 행위를 ‘소리 채집’으로 간단히
소개하고 있지만, 전후 과정을 살펴보면 이 행위는 청각과 촉각 등 신체의 다양한 감각을 동원
해 나를 둘러싼 환경을 새로이 감각하는 것이 된다.
‘소리 채집’의 과정에서 배제되었던 시각은 전시장에서 조각의 형태로 귀환한다. 이번 전시의
제목 <Sonorifaction, 부동하는 ___>에서 ‘Sonorifaction’은 소리를 뜻하는 라틴어 ‘sonor’와 석
화(石化)란 뜻의 영어 ‘petrifaction’을 합성한 단어다. 소리의 화석화라는 의미쯤 된다. 채집한
소리를 편집하기 위해 매만지고 여러 번 다시 들으면 신체를 통과하는 소리와 진동을 어느새
몸이 기억하게 된다. 자기 신체에 남겨진 이 기억을 어떻게 다른 이에게 보여줄 수 있을까 고민
했을 것이다. 흐르고 이내 소멸을 반복하는 소리의 기억. 이를 전시장에서 압축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그는 금속을 긁고, 자르고, 녹이고, 붙인 조각으로 기억의 순간들을 재구성한다.
일곱 개의 직사각 판의 형태인 작품 <Drawing as experimenting with deep sea space
frequencies>(2022)는 넓은 바다에서 채집한 다양한 소리의 촉각적 질감 그리고 물 속 진동과
그 동세를 떠올리게 하는 추상적 형상을 표현한다. 때로 형상 군데군데에선 기억이 불러낸 짧은
문장의 시구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금속판에 강한 진동을 주어 긁어 새긴 것이다.
이어 올해의 신작 <감각의 발굴 조사>(2023)는 이전 작에 비해 비정형적인 형태로 진화했다.
나사로 체결해 다양한 높이로 솟게 만든 금속과 레진의 부분들은 바다 속 소리가 신체에 남긴
기억을 더욱 입 체적으로 드러낸다. 그 형태는 언뜻 지도의 등고선이나 땅의 지층 단면을 떠올
리게도 한다. 그 러나 작업은 공간과 시간의 경계가 분명한 이미지라기보다는 순간의 감각들이
부유하는 기억을 재구성한 장면(scene)에 가깝다. 그러니 감상자는 다양한 감각적 상상을 동원
해 작품의 어느 지 점부터 보아도 좋고, 부분과 부분을 굳이 연관시키지 않고 각 부분대로 천
천히 감상해도 좋을 것이다.
윤희수는 지난 몇 년간 바다를 생경한 세계로 상정하고, 소리를 채집하는 방식으로 탐사했다.
그리고 그 소리가 본인에게 남긴 흔적과 기억을 조각으로 이어왔다. 첫 개인전(2021)에서 그는
미지의 세계이더라도 그것의 근원이 일상적 감각과 연결되어 있을 것이란 생각과 함께 보이지
않는 곳에서 지속해 존재하는 것들을 조명하고 싶다는 생각을 밝혔었다. 나에게 검은 구멍과 두
려움으로 떠오르던 바다는 이제 작가의 작업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감각과 존재를 상상하기, 그
것들이 나에게 남긴 진동의 기억으로 조금 더 구체화된다.
Preface
Vibration and Tactile, and Memories Engraved on the Body
Sang Eun PARK
When I felt bored in a class, I would open atlas book for social studies. I would read about places around the world and use all my senses to imagine them. In a twinkle, I flew from my classroom seat to the summit of Everest short of oxygen, or to the streets of Delhi full of fumes. One place hard to reach by this kind of imaginary travel was the ocean. The atlas book marked the ocean in a vast blue color, but only few names were given, and related information were much scarcely noted compared to the inland areas. Even though I added my own memories of the ocean to the given information, the ocean still remained unknown, and thus frightening to me. The yunseul (shiny ripples reflecting light) that people admire is just a reflection of the surface of the ocean, which hardly reveals the things beneath. Even if I were to immerge barefoot into its water, I would not get to see more than a few meters down, since the range of visibility that light can reach is that short in the ocean. Not to mention the problem of water pressure and breathing.
Even now, when I imagine of the ocean, what comes to my mind first is a sort of black hole. The Mariana Trench, known to be the deepest point on the ocean floor of the Earth, has been explored by humans no more than twice in the last decade. The ocean is connected to the ground I walk on, but in some ways, it is even farther than the moon.
Hee Soo Yoon, who has been recording the sounds of the ocean for years, describes herself as a sound collector. To replace her body in this exploration of the ocean, she uses a contact microphone as device. A contact microphone makes direct contact with a medium, liquid or solid, to convert the audio vibrations that resonate in that medium to store them as electrical signals. Since water has a higher density than air, sound waves travel several times faster in the water, and low-pitched sounds (vibrations at low frequencies) travel far without significant loss. Among the sounds she collected from the ocean in such way, a wide variety of sounds should be included from low vibrations emitted by beings hundreds or thousands of meters away or bouncing off their collision, to noises of different kinds of bubbles, the sound of a boat motor near the sea surface, and even the sound of foam from breaking waves.
Listening to the sounds collected under the sea is, of course, a work of auditory sense. But what if we recall the case of lobsters known to detect low-frequency sounds or vibrations through their sensory hairs on the surface of their body? The act of listening in a completely unusual way, that is, by recording and amplifying vibrations in the sea, not in the air, urges us to imagine a new sensory organ, and our auditory sense in this case is extended to the tactile sense. While the artist simply describes her practice as ‘sound collecting,’ considering the overall process, it eventually becomes a new way of sensing the environment around us by calling into play various senses of our body, including auditory and tactile ones.
The visual, which has been excluded from the process of 'sound collecting', returns in the form of sculpture in the exhibition. In the title of the exhibition, Sonorifaction, Immobile ____, the word sonorifaction is compound of the Latin word sonor, meaning ‘sound,’ and the English word ‘petrifaction,’ meaning ‘turning into a stone.’ It insinuates a sort of ‘fossilization of sound.’ While working on the collected sounds and listening to them over and over for the editing process, the body eventually ends up remembering the sounds and vibrations that keep passing through the body. Hee Soo Yoon must have wondered how she could convey this memory engraved in her body to other people. Memory of the sounds that repeatedly flow then disappear. To visualize this in a compact way in the exhibition space, she reconstructs the moments of memories with metal fragments that are scratched, cut, melted, and glued.
Drawing As Experimenting With Deep Sea Space Frequencies (2022), a work in the form of seven rectangular plates, embodies tactile textures of various sounds collected from the vast ocean, as well as some abstract shapes that evoke the underwater vibrations and motions. Sometimes, short verse of poem that emerged out of the memory are featured on those shapes here and there. The verses are created by the scratches on the metal plates provoked by strong vibrations given on the plates.
In the next place, this year's new work, Excavation Investigation of Senses (2023), has evolved into a more atypical form compared to her previous creations. The metal and resin parts, which are assembled with screws to rise to various heights, portray the memories of undersea sounds engraved on the body in a more three-dimensional way. At first glance, the shapes look like the contour lines of a map or some cross section of the strata of a land. However, the work is more of a ‘scene,’ where the memories of the floating momentary senses are reconstructed, than an image with clear boundaries of space and time. Therefore, a viewer can start to appreciate the work from any point, applying their various sensory imaginations, and can take time to view each part independently, without necessarily relating the parts to each other.
For the past few years, Hee Soo Yoon has regarded the ocean as an unfamiliar world, and explored it by means of collecting sounds. And she has weaved the fragments of the traces and memories that these sounds have left on her. In her first solo exhibition (2021), thinking that, even if it is an unknown world, its root must be connected to our daily senses, she expressed her desire to shed light on things that continue to exist in their hidden, invisible places. The ocean, which used to remind me of a black hole and fear, takes now more concrete forms as memories of the vibrations they engraved on me, through my imaginations of new forms of sensation and existence that the works of Hee Soo Yoon suggest.